Networks/회고록

SK networks AI Camp - 1 주차 회고록

코딩하는 Español되기 2024. 7. 14. 10:31

7/8일부터 12/31일까지 이번 연도 하반기를 Playdata와 함께 하기로 하였습니다.

첫 주를 보내면서 느꼈던 점과 아쉬웠던 점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1. 이번 한 주를 보내며

7/4일 오티를 통해 수업 설명과 SK networks에 관한 이야기, 기타 다른 얘기들을 듣고 7/8일(월)부터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수업 중 월요일은 프로그램 설치를 위주로 하는 시간으로 진행되었고,

화요일, 수요일은 Python 자료 구조에 관하여 배우면서 Python 기본에 관하여 배웠습니다.

2024.07.09 - [컴퓨터 공학/Networks] - SK networks AI Camp - Python 기본(1)

 

SK networks AI Camp - Python 기본(1)

두번째 시간에는 Python 기본 문법에 대해 알아보았어요.정리한 걸 포스팅 해볼게요. 변수? 상수? 계수?4x + 6 = 12   ... 4 : '계수' , x : '변수', 6 : '상수' , 12 : '상수' - 변수(Variable) : 변하는 수. 즉,

joowon582.tistory.com

2024.07.10 - [컴퓨터 공학/Networks] - SK networks AI Camp - Python 기본(2)_자료구조

 

SK networks AI Camp - Python 기본(2)_자료구조

새로운 파일을 만들어서 진행해볼게요.Python version은 3.11로 가상환경을 만들어서 해볼게요.코드 보고도 모르시겠으면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해야 할 내용1. Python version 3.11로 가상환경 설정py

joowon582.tistory.com

목요일에는 제어문인 for문, while문에 관하여 배우고 예제 문제들을 통하여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활용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024.07.11 - [컴퓨터 공학/Networks] - SK networks AI Camp - Python 기본(3)_제어문

 

SK networks AI Camp - Python 기본(3)_제어문

조건문○ 형식     if 조건문 :         # 조건이 참이면, 실행        print('조건 만족')    else:       # if 조건이 거짓인 경우       print('조건 불만족') ○ 예시a = 5if a > 3: print('a > 3')else: pri

joowon582.tistory.com

금요일에는 함수, 예외처리 등에 관하여 배우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024.07.12 - [컴퓨터 공학/Networks] - SK networks AI Camp - Python_함수

처음에는 아는 내용이니 조금 설렁설렁 들은 감도 없지않아 있었지만, 중간중간 '엥? 이런 것도 있었나?' 하는 것들이 많았고 문제를 풀면서 막히지는 않았지만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대체로 코딩 문제를 풀면서 예외처리가 중요하다는 것은 알았지만 문제 푸는 것 위주라서 관심을 두지는 않았습니다.

예외처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을 듣고 실무에서 코딩할 경우 중요한 부분이라는 것을 알고 예외처리 부분을 따로 포스팅하고 공부하였습니다.

학교에서 3개월 동안 배울 과정을 40시간(5일 * 8시간) 만에 나가는 속도라 저도 집중 안 하면 안 되겠다고 반성하고

복습과 공부를 더 철저히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2. 저번 주와 달라진 점

○ 블로그 개설과 활용

이 과정을 신청하고 듣기로 마음을 먹고 신청서를 적을 때 블로그 주소를 적는 칸이 있더라고요.

만들어 놓고 안 쓰던 이 주소를 적었었는데, 이번 과정을 통해 6개월 간 포스팅하는 습관도 기를 수 있고

막연한 다짐과 복습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트러블 슈팅에 관해서 적으면서 복습하면 찾아보기도 편할 것 같다고 여기

계속 쓰고 있어요.

이러한 것을 통해 저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제가 막혔던 부분을 제 글을 보고 해결할 수 있을 테니 그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으로 보여요.

○ 스터디 플래너

망곰이를 좋아해서 작년에 사놓았던 망곰이 스터디 플래너를 6월이 되어서야 쓰기 시작했어요.

장식용으로만 쓰이던 스터디 플래너를 쓰면서 그냥 공부해야지가 아니라 오늘은 이만큼 공부해야지라는 수치가 생겼어요.

목표를 확실하게 정하고 공부하다 보니 오래 앉아있기만 하는 공부가 아니라 진짜 필요한 만큼 공부할 수 있는 시간적인 이득과 집중도 잘 되는 느낌이었어요.

○ 운동

운동해야지 해야지 말만 하다가 이번 교육을 들으면서 습관을 바꿔 보고자 운동을 다시 시작했어요.

건강한 몸에 건강한 정신이 있다는 말처럼 6개월 동안 120일, 960시간을 하는 길다면 긴 과정인데 그 과정에서 버텨낼 체력을 기르고 있어요.

 

3. 이번 한 주 가장 아쉬운 점

처음에 Python을 배웠다고 조금 할 줄 안다고 얼렁뚱땅 넘어간 것이 좀 아쉬웠어요.

그리고 듣다가 어? 하는 부분이 왕왕 생기다 보니 내가 코딩 공부를 진짜 성적 받으려고 했구나 라는 점에 반성하게 되었어요.

○ 가상환경 설정

가상환경을 설정하는 경우는 없었는데 이번 교육을 통하여 매일을 시작하기 전에 세팅하는 것부터 시작했어요.

가상환경을 설정하는 이유는 라이브러리가 버전마다 제공할 수도 안할 수도 있어서 설정하는 거라고 들었어요.

확실히 실무에서 몸으로 겪고 오신 강사님께 들어보니 다르다는 것을 느꼈어요.

py -3.11 -m venv .venv
.\.venv\Scripts\activate
py -m pip install --upgrade pip
py install jupyter

○ 디자인

코딩할 때 머릿속으로 어떻게 구현할까에 대해 대충 생각하고 코딩하기는 했어요.

이제는 강사님이 설명해주신 것처럼 다 적어보고 어떤 걸 써서 어떻게 흘러가게 할 것인지 먼저 생각하고 코딩하려 합니다.

왜 지금까지 풀어봤던 문제들이 기억에 오래 안 남는가 하면서 아쉬웠던 것 같아요.

바로 디자인을 안 하고 풀고 프린트해보고 하면서 한 줄씩 코딩했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죠.

○ 에러

아직까지 코드 에러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4.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

○ 배울 때 잘 배우고 그날 배운 건 그날 복습

진도가 빠르다 보니까 그날 해결하지 못하면 영영 모르고 안 쓰게 될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배운 날 바로 복습하고 공부하여서 머릿속에 최대한 익히도록 노력하자고 생각했어요.

또 메모를 하면서 모르는 점에 대해 공부해 보고 오류가 발생한 부분에 대해서도 해결한 방법과 오류도 적어두려고 합니다.

○ 디자인과 예제

이제는 무작정 코딩을 하면서 한 줄씩 내려가기보다는 설계를 탄탄하게 해 두고 코딩을 하려고 해요.

이러한 습관을 들이면 앞으로 긴 코드를 작성할 때도 도움이 될 거라고 말씀해 주셨어요.

또 강사님이 주시는 문제뿐만 아니라 제가 이걸 활용해서 어떤 걸 할 수 있을까? 생각하면서 코드를 짜보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예시

2024.07.11 - [컴퓨터 공학/Networks] - SK networks AI Camp - Python을 활용한 구매 기능

 

SK networks AI Camp - Python을 활용한 구매 기능

지금까지 자료형, 반복문, 조건문을 알아보았어요.이를 최대한 활용해서사용자가 상품 구매를 하는 코드를 만들어보았습니다.이전에 배우고 포스팅한 내용들을 활용하여 만들어 보았습니다.20

joowon582.tistory.com

5. 다음 주 계획

○ 수업 열심히 듣기

안다고 넘어가지 말고 알아도 다시 한번!

○ 오류 발생하면 기록하기

오류가 발생하면 그것도 적어두고 왜 오류가 발생했는지, 오류를 어떻게 해결했는지에 대해서도 적으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