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s/Git

SK networks AI Camp - VSCode를 이용한 git 사용법

코딩하는 Español되기 2024. 7. 28. 08:00

1. 리포지토리 생성방법

○ vscode를 통해 프로젝트를 작성

dev 폴더안에 test 폴더를 만들고 vscode에서 열어주세요.

그 폴더안에 README.md 파일을 만들어주세요.

○ 리포지토리 초기화를 선택

source control (Ctrl + Shift + G)를 누르거나 해당 버튼을 클릭하여 Initalize Repository를 클릭해주세요.

○ 결과 확인 (git status : 현재 상태 확인)

○ 변경된 내용 추가하기 (git add)

○ 결과 확인 (git status)

○ 변경된 내용 커밋하기 (git commit)

○ Github 리포지토리 생성하기

○ 생성될 Github 리포지토리 이름 작성 및 public/private 선택

○ vscode에서 결과확인

○ Github 접속 및 Repository 선택(test Repository)

○ 반영된 내용 확인

2. Github 리포지토리 복제 방법

○ 초록색 <>Code 버튼 → 주소를 복사

○ Ctrl + Shift + P : 명령 팔레트 열기

○ 명령 팔레트 프롬프트에서 입력 Git: Clone 명령 선택 후 복사한 주소 입력 후 Enter

○ GitHub에 로그인하라는 메세지가 표시되면 로그인 프로세스를 완료

○ 리포지토리를 저장할 폴더를 선택

 

3. 브랜치 만들기(생성하기)

○ Ctrl + Shift + P 조합으로 명령 팔레트를 엽니다.

○ git branch 검색하고 Git : Create Branch 선택

○ 분기 이름이 상태 표시줄에 표시됨

4. 커밋하기

○ 명령팔레트 오픈

○ Git: Commit 선택 후 커밋 메세지 입력 후 Enter

 

5. 풀/푸시하기(중요! : 항상 pull 하고 push를 실행해야함!!!!)

- pull : Github 리포지토리에 있는 소스와 머지(merge)

- push : 로컬 리포지토리에 있는 소스를 Github 리포지토리에 반영

○ 활동 표시줄에서 소스 제어 아이콘 선택

○ 줄임표(...)을 선택 후 Push 나 Push to를 선택

 

* 사용하기 좋은 익스텐션

○ Git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