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공학/PYTHON

PYTHON 공부(1 주차)

코딩하는 Español되기 2022. 9. 7. 16:19

파이썬의 특징

1. 강력한 기능 무료로 사용

2. 읽기 쉽고 사용하기 쉬움

3. lot와 쉽게 연동 가능

4. 다양하고 강력한 외부 라이브러리들이 풍부

5. 강력한 웹 프레임 워크

- 플랫폼 독립적인 언어: 어떤 운영체제든 상관없이 이용 가능

- 인터프리터 언어: 소스코드 자체를 바로 실행하는 언어

- 객체 지향 언어: 기능과 정보를 정의, 결합하여 프로그램 작성 방식

- 동적 타이핑 언어: 프로그램 실행 시점에서 변수의 타입을 결정하는 언어

 

파이썬 사용 IDE

 - Vscode

링크: https://code.visualstudio.com/download

 - Pycharm

링크: https://www.jetbrains.com/ko-kr/pycharm/download/#section=windows

 - Anaconda

링크: https://www.anaconda.com/products/distribution

 - Jupyter notebook

 

키워드

파이썬은 다음과 같은 키워드를 사용하고,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언어이다.

파이썬 키워드

ex: True (O) true (X)

 

파이썬을 사용하는 IDE에서 키워드를 확인해야 하는 경우

import keyword

print(keyword.kwlist)

 

아래에서 나온 것이 모두 파이썬의 키워드

파이썬 키워드

식별자

식별자: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 주로 변수 또는 함수 이름 등으로 사용됨.

 

-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규칙

 1. 키워드를 사용하면 안됨

 2. 특수 문자는 언더 바(_)만 허용

 3. 숫자로 시작 X

 4. 공백 포함 불가

 

스네이크 케이스와 캐멀 케이스

식별자는 공백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itemlist" "loginstatus" "characterhp" "rotateangle"과 같이 공백없이 쓴다면 빠르게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두가지 방법으로 식별자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1. 단어 사이에 언더바(_) 기호를 붙여 식별자를 생성.

 예를 들어 itemlist 를 item_list로 표기하는 것. 이와 같은 방법이 스네이크 케이스

 # 단어가 한번에 이어진다고 해서 스네이크 케이스

 

 2. 단어들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만들어 식별자를 생성.

 예를 들어 itemlist 를 ItemList로 표기하는 것. 이와 같은 방법이 캐멀 케이스

 # 낙타를 닮아서 캐멀 케이스

 

원래 캐멀 케이스는 첫 번째 글자를 대문자, 소문자로 적는 것으로 구분.

따라서 파이썬에서는 첫 번째 글자가 소문자라면 모두 스네이크 케이스.

반대로 첫 번째 글자가 대문자라면 모두 캐멀 케이스.

- 캐멀 케이스로 작성되면 클래스

- 스네이크 케이스로 작성 되어 있으면 함수나 변수

- 스네이크 케이스 중 괄호가 있으면 함수, 없다면 변수

 

주석

주석: 프로그램의 진행에 영향을 주지 않는 코드, 프로그램 설명하기 위해 사용. # 기호를 붙여 주석 처리

연산자와 자료

연산자: 값과 값 사이에 어떤 기능을 적용할 때 사용하는 것.

            예를 들어 +, - 같이 혼자서는 의미가 없지만 양 쪽에 숫자가 있으면 +, - 의 기능을 하는 것

자료(리터럴): '값' 자체

 

출력: print( )

가장 기본 적인 출력방법은 print( ) 함수는 괄호 안에 출력하고 싶은 것을 나열해서 사용

ex: print(출력1, 출력2, ...)

 

줄바꿈하기

print 명령 괄호 안에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고 단순하게 줄바꿈을 함.

 

핵심 포인트 정리

  • 표현식: 파이썬에서는 값을 만들어 내는 간단한 코드
  • 키워드: 의미가 부여된 특별한 단어, 사용자가 지정하는 이름에 사용하면 안됨
  • 식별자: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
  • 주석: 프로그램 설명하는 데 사용, 프로그램에 아무영향을 주지 않음
  • print( ): 가장 기본적인 출력 방법으로 괄호 안에 출력하고 싶은 것을 입력해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