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어(첫번째)
넷플릭스에 종이의 집이 유행하고 시청하다 보니 스페인에 관심이 생기고 찾아보니 스페인이 정말 화려하고 멋진 나라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공부하고 싶다는 것을 느끼고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다.
왜 스페인어를 공부해야하는가?
1. 전 세계에서 중국어 다음으로 많이 쓰는 단어이다.
2. 스페인은 과거 전 세계를 지배했던 화려한 역사가 있기 때문에 당시 식민지였던 중남미를 비롯해 미국, 필리핀, 푸에르토리코, 안도라 등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또한 뿌리가 같기 때문에 두 언어 습득에도 유용
3. 알파벳을 그대로 읽으면 되는 쉬운 발음과 영어와 비슷한 문법이 많다는 점에서 접근이 쉽다.
스페인에 관하여 Sobre Espana
구분 |
|
국가명 | 스페인(España 에스파냐, Spain 스페인(영문)) |
수도 | 마드리드(Madrid) |
공용어 | 스페인어(español 에스파뇰, castellano 카스떼야노 라고도 불림) |
왕 | 펠리페 6세(Felipe VI) |
종교 | 가톨릭 73.9% |
기온&강수량 | 대체적으로 여름엔 건조, 겨울엔 우기 |
면적 | 504.645㎢ |
인구 | 4735만(2020년 기준) |
GDP | 1.281 USD(2020년 기준) |
국가번호 | +34 |
국경일 | 10월 12일(1492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일) |
화폐 단위 | 유로(Euro) |
Abecedario(아베쎄다리오)
스페인어는 모음 5개와 자음 22개를 합쳐 총 27개의 알파벳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추가로 두 개의 복합 문자(ch, ll)가 있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알파벳을 '소리 나는 대로' 읽으면 된다는 것!!!
된소리가 가능한 발음들은 된소리를 강하게 살려 발음해야 한다!!!
1. 모음
A/a 아 | E/e 에 | I/i 이 | O/o 오 | U/u 우 |
el amor 엘 아모르 사랑 |
la estación 라 에스따시온 역 |
la idea 라 이데아 아이디어 |
el orden 엘 오르댄 순서 |
la uva 라 우바 포도 |
이 5가지의 모음을 기본으로 모음 2개가 만나 하나의 소리를 내는 이중 모음도 존재.
ex: la pausa 라 빠우사 잠깐 멈춤, sucio(a) 수씨오(아) 더러운, el peine 엘 뻬이네 빗
2. 자음
A/a 아 | B/b 베 | C/c 쎄 | D/d 데 | E/e 에 |
el baño 엘바뇨 화장실 |
la cereza 라 쎄레싸 체리 |
el dado 엘 다도 주사위 |
||
F/f 에페 | G/g 헤 | H/h 아체 | I/i 이 | J/j 호따 |
la folr 라 플로르 꽃 |
la gente 라 헨떼 사람들(집합명사) |
la hoja 라 오하 잎사귀 |
la joya 라 호야 보석 |
|
K/k 까 | L/l 엘레 | M/m 에메 | N/n 에네 | Ñ/ñ 에녜 |
el kiwi 엘 끼위 키위 |
el libro 엘 리브로 책 |
la mano 라 미노 손 |
la nariz 라 나리쓰 코 |
el niño 엘 니뇨 남자아이 |
O/o 오 | P/p 뻬 | Q/q 꾸 | R/r 에레 | S/s 에세 |
el padre 엘 빠드레 아버지 |
la queja 라 께하 불평 |
el ratón 엘 라똔 쥐 |
el salóm 엘 쌀론 거실 |
|
T/t 떼 | U/u 우 |
V/v 우베 | W/w 우베 도블레 | X/x 에끼스 |
la televisión 라 뗄레비시온 텔레비전 |
la vaca 라 바까 암소 |
el whisky 엘 위스끼 위스키 |
el taxi 엘 딱시 택시 |
|
Y/y 예 | Z/z 쎄따 | CH/ch 체 | LL/ll 에예 | |
el yate 엘 야떼 요트 |
el zapato 엘 싸빠또 신발 |
el chico 엘 치꼬 남자 |
la lluvia 라 유비아 비 |
3. 발음
ó ñ ü
(1) C쎄 '쎼'로 'ㅆ' 소리를 가져야 하지만, 만나는 모음에 따라 'ㅆ' 'ㄲ' 혹은 'ㄱ' 받침소리도 낸다
1. C가 'a 아, o 오, u 우'를 만나면 'ㄲ' -> '까' '꼬' '꾸'
2. C가 'e 에, i 이'를 만나면 'ㅆ' -> '쎄' '씨'
3. C가 반복되면 앞의 c는 'ㄱ' 받침으로 발음
ex: la dirección 라 디렉씨온 방향, la acción 라 악씨온 움직임
4. c가 음절의 첫소리일때는 만나는 모음에 따라 'ㅆ' 'ㄲ' 소리로, 음절의 받침일때는 'ㄱ' 받침
ex: el teclado 엘 떼끌라도 키보드(음절의 첫소리로 쓰인 예)
la actriz 라 악뜨리쓰 여배우(음절의 받침으로 쓰인 예)
(2) F 에페는 'ㅍ'와 'ㅎ'의 중간 소리로 la flor은 '라 플로르'이지만 'ㅎ'소리도 나게 발음해야 한다.
(3) G 헤는 'ㅎ' 소리를 가지지만 만나는 모음에 따라 'ㄱ' 이나 'ㅎ' 소리를 냅니다.
1. G가 'a 아, o 오, u 우'를 만나면 'ㄲ' -> '가' '고' '구'
2. G가 'e 에, i 이'를 만나면 'ㅆ' -> '헤' '히'
3. '게' 와 '기' 소리는 'gue'와 'gui'를 사용합니다. u는 ge와 gi 발음과 구분하기 위해 첨가된 묵음처리
ex: la guerra 라게라 전쟁, el guisante 엘 기산떼 완두콩
4. 하지만 ü는 güe, güi처럼 그대로 읽어준다.
ex: la vergüenza 라 베르구엔싸 수치, argüir 아르구이르 추론하다
(4) H 아체는 알파벳이름은 '아체' 지만 실제로는 묵음으로 소리를 가지고 있지 않음
(5) J 호따는 알파벳이름은 '호따'이며 영어의 'H' 발음 'ㅎ'소리를 낸다.
(6) K 까는 'ㄲ' 'ki 끼' 발음만 사용, 주로 외래어 표기할 때 사용. 외래어가 아닌 'ㄲ'발음은 'qui 끼'로 표기
ex: el kiwi 엘 끼위 키위, el kilómetro 엘 낄로메뜨로 킬로미터
(7) N 에네는 'ㄴ' 'ㅇ' 'ㅁ' 소리를 냅니다.
1. 기본적으로 'ㄴ' 소리입니다.
2. 뒤에 자음 c, g, j, q가 오면 'ㅇ' 받침소리가 된다. 단 c가 'ㅆ'발음일때는 'ㄴ'받침으로 읽음
ex: quince 낀세 숫자15
3. n 뒤에 자음이 b, f, m, p, v가 오면 'ㅁ' 발음이 됨
(8) Ñ 에녜는 뒤에 오는 모음들은 '냐, 녜, 니, 뇨, 뉴'로 만들어 줍니다.
(9) W 우베 도블레는 모음을 만나면 '와, 웨, 위, 워, 우' 소리를 내며 K 와 마찬가지로 주로 외래어 표기에 사용
(10) X 에끼스는 'ㅆ', 'ㄱ' 받침+'ㅆ' 소리로 대부분 단어 중간에 위치하여 앞 모음에 'ㄱ' 받침을 더한후 'ㅆ'소리를 냄
(11) Y 예는 항상 모음과 같이 쓰이며 뒤에 오는 모음을 '야, 예, 이, 요, 유' 발음으로 만들어준다.
(12) Z 쎄따는 'ㅆ' 소리로 모음을 만나면 '싸, 쎄, 씨, 쏘, 쑤' 발음이 됩니다.
(13) CH 체는 'ㅊ' 소리